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창업가의 자질과 창업의 유형
    경영학 개념 정리 2023. 5. 3. 18:51

    이번 글 개요

     이번에 알아볼 창업적 지식은 창업가의 자질과 창업의 유형에 대한 정보이다. 보통 창업가들은 모든 것을 다 알아야 한다고 막연하게 생각을 하거나 자신이 만드는 물품의 생산적인 지식에 대한 정보만을 집착하기가 쉽다. 하지만 창업가의 자질이 어떤 것이 필요한 지를 정리하여 하나하나 살펴보고 부족한 부분을 채운다면 훨씬 완성도가 높은 창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자신이 어떤 유형의 창업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것을 아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자신의 유형을 알고 다른 창업의 유형들의 장단점을 살펴본다면 자신에게 유리한 다른 유형의 창업을 진행하거나 혹은 자신의 유형의 창업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창업가의 자질

     창업가의 자질은 창업을 성공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창업가의 자질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거론된다.

    •  창의력 : 남과 다른 창조적인 문제해결 능력
    •  성취 의욕 : 일의 완수 및 경쟁에 관련한 강한 의욕을 갖고 분명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할 수 있는 의욕의 정도
    •  자아의식 : 운명에 맡기기보다는 운명을 자신이 개척할 수 있다는 의식
    •  모험 선호도 :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는 적극적인 태도
    •  결단력과 진취력 : 행동에 옮기는 실천의지와 미래지향적 사고
    •  헌신과 열정 : 일을 위해 본인의 안락을 희생하고 일에 대한 강한 집중력을 가짐
    •  전문성 : 창업을 하고자 하는 분야의 기술과 경영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거나 부족하다면 보완할 방안의 확보
    •  사회성 : 다양하고 복잡한 인간관계를 다룰 수 있는 능력
    •  약점 보완 능력 : 한 번에 성공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실패를 극복하고 시랲를 교훈삼아 약점의 수정과 개선을 할 수 있는 능력
    •  책임감 : 창업에 동반하는 동료들을 이끌 수 있는 책임감과 능동성

     

    창업의 유형

     창업의 유형은 다양하다. 먼저 창업의 동기를 중심으로 구분한다면 계획을 세우고 준비를 거쳐 자기 사업을 하는 독립형 창업과 외부의 영향으로 시작하는 외부의존형 창업이 있다.

     독집형 창업을 다시 전통적 창업가와 연쇄 창업가로 구분할 수 잇다. 전통적 창업가는 자신이 갖고 있는 특수한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한다. 이들은 자신이 잘 아는 분야에서 출발하고 창업에 성공하여도 그 업종을 지속하고 더 큰 기업으로 성장시키려고 노력한다. 반면에 연쇄 창업가는 기업을 만들고 초기에 기업을 성장시키는 것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은 자신이 잘 아는 분야에서만 창업을 시도하기보다는 도전적으로 아이디어를 시험한다. 아이디어가 타당성이 있어 초기의 사업이 성공해 나가면 그 분야의 전문성이 있는 사람이나 기존 기업에 창업한 기업을 넘겨주고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를 찾아 나선다.

     외부의존형 창업에는 생존형 창업과 사내창업 등이 있다. 생존형 창업은 회사의 도산, 거래처의 변경, 실직 등의 이유로 창업을 통해 현배돠 나은 조건을 만들고자 한다. 반면에 사내창업은 개인적으로 회사를 만들 자본이나 위험부담의 어려움을 고려해 기존 근무 회사에 취업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사의 시설과 자금을 활용하여 새 사업을 시작하고 이를 통해 쇠아의 창업가가 모두 이익을 얻고자 하는 창업 유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소사장제라고도 알려져 있다. 사내창업은 보통 분사독립을 통해 모기업과 관계가 정리된다. 분사독립은 모기업의 일부 사업을 분리하여 독립된 기업으로 설립하고, 모기업의 주주들에게 지분의 일부를 넘겨주는 것이다. 이는 분사 후 기존의 모기업과 연관된 제품이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모기업에서 개발된 기술을 모기업이 아닌 유연한 조직인 신설 창업기업을 통해 사업화로 연결시키는 것이 성공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시도된다.

     창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창업을 하는 기업의 형태가 어떤지도 중요하다. 기업은 개인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유한회사, 주식회사 등의 형태로 설립할 수 잇지만 창업을 할 때에는 보통 개인회사 또는 주식회사 형태가 널리 사용된다. 주식회사는 개인회사보다 대외공신력과 신용도가 높고, 영업수행에 있어서도 기업 이미지가 좋아 널리 사용된다. 특히 창업한 기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면, 개인회사보다는 주식회사가 신주 및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용이하여 더 큰 성장이 수월하게 된다.

Designed by Tistory.